노트북 업그레이드 글을 쓴 지가 좀 되었다.
노트북 SSD를 교체해보았다. (NT551 EBE)
최근 밖에서 쓸 노트북이 하나 필요해졌다. 하나 살까 하는 찰나에 거실에서 셋톱박스 느낌으로 사용하던 노트북 사양이 괜찮은 것 같아서 이걸 사용하기로 하였다. +다만, 당시에는
kim-flutter.tistory.com
노트북 RAM 교체(NT551 EBE)
이전글 : (SSD 교체) https://kim-flutter.tistory.com/9 노트북 SSD를 교체해보았다. (NT551 EBE) 최근 밖에서 쓸 노트북이 하나 필요해졌다. 하나 살까 하는 찰나에 거실에서 셋톱박스 느낌으로 사용하던.
kim-flutter.tistory.com
글들을 써보고 생각하니 노트북 부품을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 모르는 사람들도 있겠다 싶었다.
나 같은 경우도 그렇게 잘 아는 건 아니지만 이런 쪽으로 아예 문외한이라서 노트북의 부품이 변경 가능하다거나 폼펙터 등을 모르는 사람들이 가끔 있어서 이러한 부분을 알아보는 글을 짧게나마 써볼까 한다.
보통 노트북을 업그레이드한다고 하면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것은 HDD를 SSD로 변경(혹은 더 높은 용량으로) 하거나 RAM 용량을 높이는 정도.
물론, CPU 교체까지 가능한 경우가 있기는 한데 데스크톱 CPU와 달리 노트북의 CPU는 일반적으로 구하기 쉽지도 않고 또 온보드 형식으로 돼서 아예 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많아서 따로 다루지는 않으려고 한다. 제대로 알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뭘 알려주는 거 자체가 힘들 것 같아서...
0. 준비물
우선 CPU-Z. 내 컴퓨터의 사양을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공식 사이트로 들어가서 다운을 받고 설치하면 된다. 링크를 올려둔다.
CPU-Z | Softwares | CPUID
CPU-Z is a freeware that gathers information on some of the main devices of your system : Processor name and number, codename, process, package, cache levels. Mainboard and chipset. Memory type, size, timings, and module specifications (SPD). Real time mea
www.cpuid.com
그리고 SSD의 교체를 위해 SSD 정보를 알기 위한 SSD-Z.
SSD-Z 16.09.09b
SSD-Z Information tool for SSD and other disk devices Download RAR 16.09.09b Download ZIP 16.09.09b Program Description SSD-Z is an information tool for Solid State Drives and other disk devices. Using a database, it will show information about your SSD, s
aezay.dk
그리고 다나와 사이트.
노트북의 기종명을 알고 있다면, 해당하는 노트북의 관련 정보를 찾기 쉬울뿐더러 부품의 가격도 찾아볼 수 있으니 괜찮다. 물론, 다나와 말고도 괜찮은 사이트가 여럿 있으나 가격비교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닌 노트북의 스펙 등을 보는데 참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스펙 참고용의 사이트로 쓰고 부품은 다른 사이트와 적절히 비교해서 구매해도 좋다.
스마트한 쇼핑검색,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가격비교 사이트 - 온라인 쇼핑몰, 소셜커머스 전 상품 정보 가격비교 사이트, 비교하면 다나와
www.danawa.com
1. SSD
SSD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일단 해당하는 노트북이 지원하는 SSD의 폼펙터가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폼펙터의 분류는 여러 개가 있는데 보통은 2.5인치 SSD, SATA3M.2 SSD, NVMe M.2의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더 자세하게 들어갈 수도 있겠으나 일단 저 정도로 분류가 가능하다는 것만 알아두고 넘어가자.
먼저, 내 노트북이 HDD를 써서 속도가 느리거나 혹은 SSD의 용량이 부족하여 교체하려고 한다면 내 노트북이 어떤 폼펙터를 쓰는지 그리고 어떤 것을 지원하는지를 알아봐야 한다.
해당하는 방법에서 가장 좋은 것은 역시 하판을 분리해보는 것이겠으나 사실 제대로 뭐가 뭔지 모른다면 분리를 해도 알아보기 쉽지 않을 것이다. 두 번째로 좋은 것은 인터넷에 내가 업그레이드하려는 노트북의 기종을 검색해보는 것인데 없을 것 같아도 찾아보면 업그레이드를 진행한 사람들이 있고 해당하는 사람이 어떠한 폼펙터의 SSD를 사용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참고하여 진행하면 된다.
여기서는 내 노트북을 업그레이드를 해본 사람이 없어서 직접 해야 한다는 가정하에 스스로 알아보는 방법을 서술해보겠다.
우선, 위에서 서술한 SSD - Z를 다운로드 후 실행해준다. 그러면 내가 쓰는 SSD(혹은 HDD)에 대한 정보가 나오는데 해당 정보에서 Interface를 보고 해당하는 Interface 폼펙터의 SSD를 구매하면 된다.
2. RAM
RAM 경우도 미리 체크를 해줘야 하는 부분이 있는데 해당하는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선 우선 CPU-Z를 실행한다.
실행 후 Memory 탭으로 들어가 Type에 DDR3라고 되어있는지 DDR4라고 되어있는지 확인한다.
내가 아는 한 DDR3와 DDR4는 호환이 되지 않으니 DDR3 일 경우 DDR3를 구입하고 DDR4의 경우도 DDR4를 구입해야 한다.
추가로 다다익램 이라고는 하지만, 메인보드가 견딜 수 있는 용량이라는 것이 있다. 해당하는 용량이 어디까지 인지 확인하는 방법을 찾기는 쉽지 않지만 나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16 까지는 지원할 것이다 라고 생각하고 16으로 하는 편이다. 최신으로 올수록 16 정도는 당연히 지원하고 2009년도쯤 산 걸로 기억하는 것도 16G 까지는 지원했으니 아마 괜찮지 않을까 싶다.
덤으로 렘의 슬롯 등을 알아야 한다. 렘이 하나만 넣을 수 있는지 두 개를 넣을 수 있는지 혹은 아예 교체가 불가능한지. 이것을 확인해야 하는데 이걸 알아보는 방법 중에서 나름대로 가장 쉬운 건 위에서 상기한 다나와를 쓰는 법이라고 생각한다.
일단 다나와를 들어간다.
다나와를 들어간 후 검색창에 자기 노트북의 해당 기종을 검색해본다.
나의 경우 이전 SSD, RAM 교체를 했던 NT551 EBE를 검색해보았다.
이렇게 해서 나오는 결과에서 위에 처럼 SSG.COM , COUPANG 같이 사이트로 가는 것을 제외한 곳으로 들어간다. 나의 경우 NT550과 NT551 이 이름은 다른데 모델명에서는 차이가 나나 식별에서는 NT550 EBE로 동일하게 때문에 최상단으로 들어갔다. 1
들어간 후 상품 상세정보를 보면 스펙에 대한 정보가 적혀있는데 해당 부분에서 RAM 부분을 살펴보자.
여기서는 메모리 용량은 무시해도 괜찮은 정보로 자기의 실 메모리가 얼마나 되는지는 위에서 적은 CPU-Z 혹은 저마다의 방법으로 확인을 한다.
위에 메모리 특징을 기반으로 내가 메모리를 교체할 때 살 메모리는 DDR4의 RAM 2개를 구매하면 된다는 정보를 대략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 아쉬운 점은 여기서 최대 RAM 까지는 알아보기 힘들다는 건데 보통 8G~16G 정도는 지원하니 이 선에서 업그레이드를 생각해보면 괜찮지 않을까 싶다. 2
서론에 적어두긴 했다만 몇 달전쯤 부품을 교체하면서 이걸 적었는데 임시 저장해두곤 그 뒤를 안 적어서 그냥 마무리하자는 생각으로 적어보았다. 도움이 되려나 어쩔지는 모르겠지만 사실 이게 도움이 되는 정보인지는 모르겠다. 그냥 그때 적어둔 게 아까워서 올려본다.
'잡다한것 >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공기계를 활용하는법 (0) | 2021.07.31 |
---|---|
갤럭시S4를 루팅 후 커스텀 롬을 설치해 보았다. (0) | 2021.07.30 |
안드로이드를 PC로(2), BlissOS 설치 '시도' (HP Stream 11) (0) | 2021.07.23 |
안드로이드를 PC로, PrimeOS 설치법 (HP Stream 11) (0) | 2021.07.22 |
리눅스 민트 한글입력 및 Edge 설치 (0) | 2021.07.18 |